베리베리굿 봉산센터

봉산센터 소개

예약

홀덤솔루션 텔레그램 @devpia 리니지프리서버제작 리니지프리서버개발 코인레버리지사이트제작,리니지프리서버제작,코인레버리지솔루션…

페이지 정보

작성자 Jennifer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9-21 22:44

본문

가상 코인레버리지사이트제작 자산의 하나인 BTC(비트코인Bitcoin)를 기술 성장주 위주인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QQQ 또는 나스닥 100 지수의 일일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는 TQQQ(ProShares UltraPro QQQ)와 분산 투자했을 때, 한국인이 얻을 수 있었던 과거 성과를 살펴봅니다. 복리 수익률로 그린 평균-분산(Mean-Variance) 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석해 봅니다. 환율과 원화 및 달러 예금도 함께 고려합니다.​참고: 이 분석은 블로그 구독자께서 신청하신 것입니다.​주의: 저자는 가상 자산에 문외한이며 가상 자산 투자에 대해 어떠한 의견도 없습니다. 기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한 것뿐이며, 모든 데이터는 과거에 대한 설명일 뿐입니다.​동영상 해설​이 연재는 자산 배분 분석 시즌 1의 리부트입니다. 시즌 1 대비 보완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배당금 내역을 추정하여 데이터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데이터를 보정해서 분석합니다.선형 수익률(linear return, simple return) 대신 장기 복리 투자에 보다 적합한 복리 수익률(compound return)로 분석합니다.고정된 예금 이율 대신 기준 금리나 이에 준하는 예금 이율을 가정합니다.VaR(Value at Risk)과 CVaR(Conditional Risk at Value) 지표를 이용하여 위험 정도를 살펴봅니다.​기존 분석과 평균-분산 그래프 해석 방법은 다음 자료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특히 평균-분산 그래프 해석 방법은 먼저 읽어 보길 권합니다. 이 연재는 그래프 해석 방법과 개별 지표의 의미를 세세하게 해설하지 않습니다.​시즌 1 분석: 해당하는 시즌 1 분석 없음평균-분산(Mean-Variance) 그래프 해석 방법 및 주의 사항[중급 39] 복리 수익률로 보는 평균-분산 그래프의 해석 (표준 편차에 대한 비대칭 해석)​​주의: 이 글은 특정 상품 또는 특정 전략에 대한 추천 의도가 없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하는 수치는 과거에 그랬다는 기록이지, 앞으로도 그럴 거라는 예상이 아닙니다. 분석 대상, 기간, 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코인레버리지사이트제작 나올 수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가공, 해석 단계에서 의도하지 않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설명은 편의상 현재형으로 기술하지만, 데이터 분석에 대한 설명은 모두 과거형으로 이해해야 합니다.​사용 데이터 및 분석 방법주의: 이 분석은 한정된 기간의 데이터로 특정 분석 방법을 적용한 것입니다. 단순 투자 참고용 데이터입니다.​데이터 소스: 야후 파이낸스, 시킹 알파, 네이버, 한국은행, 자산운용사 등데이터 기간: 2014년 9월 17일 ~ 2025년 7월 25일 (약 10.9년치)분석 방법: 복리 수익률을 이용한 평균-분산 분석분석 단위 기간: 1년(252거래일)평균: 1년 수익률(자산비)의 기하 평균위험: 1년 수익률(자산비)의 표준 편차 (로그 정규 분포 가정)금리: 원화 = CD 91일물, 달러 = 기준 금리필요한 경우 비어있는 값을 내삽(interploation) 또는 외삽(extraploation)으로 추정하여 사용​주의: 데이터 분석에 사용하는 야후 파이낸스 데이터는 배당금이 일부 누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배당 재투자 가격(Total ReturnTR)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CHD의 경우 상장 후 2025년 7월 3일까지의 TR CAGR이 Total Real Returns 사이트에서는 12.55%로 나오지만, 야후 파이낸스 데이터로는 11.1%로 계산됩니다. 1.4% 정도의 수익률 차이는 일부 배당금이 누락되었기 때문입니다. 본 분석에서는 배당 내역을 추정하여 오류가 발견되면 보정하여 분석하지만 완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분석 결과를 투자에 참고하고자 한다면, 투자 결정에 앞서 데이터가 정확한지 신중하게 교차 검증하기를 권합니다.​BTC와 QQQ 배당을 이용한 기초 데이터 확인BTC와 QQQ의 TR 주가 데이터 무결성을 배당 내역으로 확인해 봅니다. 배당을 고려하지 않은 거래 가격인 PR(Price Return) 가격은 오류가 적은 반면, 배당금 누락 또는 오기입으로 인한 TR 가격 오류는 꽤 흔하기 때문입니다.​다음은 TR 가격과 PR 가격의 차이를 코인레버리지사이트제작 이용하여 추정한 두 자산의 배당 내역입니다.​BTC, QQQ, QQQ (보정) 배당 내역 (추정)​왼쪽 BTC는 배당이 없기에 미세한 오차만 보입니다. 가운데 QQQ는 한 건의 배당이 누락되어 있어 오른쪽과 같이 보정하였습니다. 참고: 저자는 가상 자산에 대해 문외한이라 잘 모르지만, 어떤 가상 자산은 마치 기업 분할처럼 분리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압니다.​BTC와 QQQ의 기본 지표, 환율 효과 및 상관성다음은 BTC와 QQQ의 공통 상장 기간으로 본 누적 수익률 그래프입니다. 실선은 환헤지(달러 가격)이며, 점선은 환노출(원화 환산 가격)입니다.​BTC와 QQQ 누적 수익률 (환헤지, 환노출)​하단 보조 그래프의 파란색 선은 BTC / QQQ로 계산한 상대 자산비입니다. 등락이 극심하긴 하지만, QQQ 대비 BTC는 꾸준히 상승했습니다. 2023년부터의 지속적인 상승이 눈에 보입니다.​보조 그래프의 회색 선은 분석 기간 첫 거래일 환율을 1로 둔 자산비인데, 바닥에 딱 붙어 있습니다.​다음은 BTC와 QQQ의 1년 복리 수익률로 그린 평균-분산 그래프입니다.​평균-분산 그래프 상의 BTC와 QQQ 및 환율 효과​광활합니다. 전 BTC의 장기 수익률과 변동성이 이처럼 높았는지 몰랐습니다. 참고: 저자는 가상 자산에 대한 어떠한 의견도 없음을 다시 말씀드립니다. 모든 통계치는 과거에 대한 설명일 뿐입니다.​주의: BTC의 원화 가격은 단순히 달러 가격에 환율을 곱해 구했습니다. 국내에서 거래하는 BTC 가격과 여러 가지 이유로 상당한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QQQ (원화)의 변동성은 대략 15%입니다. BTC (원화)의 변동성은 125% 정도입니다. 수익률로는 각각 20%와 80% 정도입니다. 산술로 계산하면 변동성은 8.3배 정도이고 수익률은 4배 정도입니다. BTC는 QQQ의 4배 이상 레버리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로그 수익률로 변동성을 계산하면 BTC는 QQQ의 대략 4.8배 레버리지에 가까웠습니다.​기본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퍼센트(%) 기호는 생략했습니다.​종목CAGR1년 수익률1년 표준 코인레버리지사이트제작 편차MDD1년 최저 수익률VaR 95%CVaR 95%BTC/USD (달러)66.8159.2275.5-83.0-81.0-60.8-68.7QQQ (달러)18.319.919.9-35.1-34.8-17.4-25.1BTC/USD (원화)71.2156.4255.2-82.4-80.4-57.6-65.7QQQ (원화)21.522.116.8-30.7-30.4-7.2-15.1환율2.72.66.4-15.8-12.1-7.4-8.8달러 예금 (달러)1.91.91.90.00.10.10.1달러 예금 (원화)4.64.56.9-15.8-12.0-6.9-8.4원화 예금2.02.01.00.00.70.70.7​수익률: CAGR과 1년 산술 평균 수익률을 보면, BTC가 QQQ보다 월등히 높았습니다. CAGR은 복리 투자 시 평균 수익률로, 1년 수익률은 단리 투자 시 평균 수익률로 볼 수 있습니다.​위험 1: 표준 편차, MDD, 1년 최저 수익률 모두 BTC가 훨씬 위험했습니다.​위험 2: VaR 95%, CVaR 95%로도 BTC가 훨씬 위험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상대적으로 QQQ가 BTC보다 환율에 의한 위험 감소 효과가 높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다음 그림은 BTC, QQQ 및 환율 간의 상관성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BTC, QQQ, 환율의 상관성​자산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인지 BTC와 QQQ는 일반적인 주식형 ETF끼리보다 상관성이 낮은 편이었습니다. ​BTC + QQQ의 분산 투자 효과다음은 BTC와 QQQ에 환헤지 또는 환노출로 분산 투자한 경우입니다.​평균-분산 그래프 상의 BTC + QQQ​BTC와 QQQ는 상관성이 높은 편은 아니었지만, 워낙 많이 떨어져 있기에 분산 투자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왼쪽 그래프를 보면 BTC + QQQ는 마치 예금 + QQQ의 연장선 상에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확인을 위해 예금 + BTC를 그린 그래프가 오른쪽입니다.​오른쪽 그래프는 결과가 조금 이상해 보입니다. 평균-분산 그래프에서 자산을 혼합하면 볼록성(convexity)이 나타나게 되는데, 예금 + BTC는 살짝 S자 느낌이 납니다. 조금 특이한 형태이긴 한데, 시각적 착시인 듯합니다.​예금 + BTC는 QQQ + BTC보다 오른쪽 아래에 있습니다. BTC는 예금보다는 QQQ와 분산 투자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QQQ가 변동성 대비 수익률이 높았기 때문입니다.​TQQQ와 비교BTC와 QQQ는 변동성과 수익률 차이가 워낙 커서 분산 투자 효과를 살펴보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코인레버리지사이트제작 좀 더 세밀하게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예금 + BTC로 BTC의 변동성과 수익률을 낮춰 QQQ와 혼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의 분석에서는 반대로 QQQ의 3배 레버리지 ETF라고 할 수 있는 TQQQ와 BTC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접근합니다.​TQQQ는 QQQ보다 늦은 상장되었지만, 분석에 사용한 BTC보다는 데이터 기간이 길기에 동일한 기간으로 분석이 가능합니다.​평균-분산 그래프 상의 BTC와 TQQQ [왼쪽], BTC와 QQQ [오른쪽] 및 환율 효과​왼쪽은 BTC와 TQQQ의 평균 분산 그래프입니다. TQQQ는 QQQ의 3배 레버리지이지만, 오른쪽 QQQ와 비교하면 변동성은 3배를 넘어가고, 수익률은 2배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 복리 수익률로 본 변동성으로 3배가 넘는 것입니다. 로그 수익률로는 거의 3배에 가깝습니다. 표준 편차의 두 번째 수치인 마이너스 값을 보면 3배가 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이는 레버리지 ETF의 특성인 변동성 끌림(volatility drag)과 레버리지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스왑(swap) 비용이 상당하기 때문입니다. 참고: 레버리지 ETF 유지 비용을 추산하는 간단한 방법과 예 (QQQ와 TQQQ)​BTC와 TQQQ의 분산 투자 효과도 살펴봅니다.​평균-분산 그래프 상의 BTC + TQQQ​상당히 특이한 형태입니다. 왼쪽 그래프를 보면 예금 + TQQQ와 TQQQ + BTC가 마치 갈매기가 날개를 펼친 듯한 형상입니다. 대개의 자산은 변동성 증가 대비 수익률 증가가 작습니다. 앞서 살펴본 QQQ와 TQQQ의 관계에서도 살펴보았습니다.​TQQQ와 BTC는 달랐습니다. 일반적인 자산의 위험 대비 수익률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TQQQ를 기준으로 움푹패어 들어간 부분은 다른 자산과의 분산 투자를 통해 메꿀 수 있는 영역입니다. 오른쪽의 예금 + BTC를 보면 이 영역의 상당 부분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예금 + BTC 선은 TQQQ의 왼쪽에 있습니다. TQQQ와 동일한 수익률을 예금 30% + BTC 코인레버리지사이트제작 70% 정도의 포트폴리오로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 포트폴리오로 변동성을 20%가량 낮출 수 있었습니다. 주의: 미래에도 그럴 거라는 예측이 아닙니다.​환노출 또는 환헤지로 투자하면서 달러 예금과 혼합하는 경우를 살펴봅니다.​평균-분산 그래프 상의 BTC + TQQQ + 달러 예금​파란색 그물은 BTC와 TQQQ에 환헤지로 투자하고 나머지 투자금으로는 달러 예금에 가입한 경우입니다. 초록색 그물은 환노출로 투자하는 경우입니다. 환헤지 BTC + TQQQ 분산 투자는 환노출 BTC + TQQQ 대비 열위에 있었습니다.​다음은 달러 예금과 혼합했을 때의 CVaR 95%를 함께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CVaR 95%는 하위 5% 수익률의 평균으로, 위험 정도를 통계적으로 살펴보기에 좋은 지표입니다.​평균-분산 그래프 상의 BTC + TQQQ + 달러 예금의 위험​그래프에서 점의 색상은 CVaR 95%입니다. 노란색은 위험이 낮았던 포트폴리오이고, 보라색은 위험이 높았던 포트폴리오입니다. 워낙 위험이 높았던 포트폴리오가 대부분이라 뚜렷한 구분이 어렵습니다.​다음은 원화 예금과 혼합했을 때의 위험을 표시한 그래프입니다.​평균-분산 그래프 상의 BTC + TQQQ + 원화 예금의 위험​앞서 달러 예금과의 혼합과 비교해 보면, 변동성이 조금 더 증가했습니다. 전반적으로 BTC는 원화 예금보다는 달러 예금과의 분산 투자가 조금 더 나았던 것으로 보입니다.​내가 투자자라면BTC는 변동성이 매우 높았습니다, 미래에도 과거처럼 높은 수익률이 이어질지 예측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미래를 추정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 자체가 없는 자산이기 때문입니다.​일반적인 종목은 주기적으로 공시되는 사업보고서와 재무제표 등을 통해 기업의 미래를 나름 합리적으로 예상해 보려고 시도할 수 있지만, 가상 자산은 그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믿음이 유일한 투자의 근거가 되는 것입니다.​가상 자산에 대한 아무런 의견 없이 BTC가 일반적인 ETF라 가정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해서 투자 비중을 결정한다면, 달러 예금 코인레버리지사이트제작 또는 QQQ와의 조합이 합리적이었습니다. 주의: 기계적인 통계적 해석일 뿐입니다.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저자는 가상 자산에 대해 문외한입니다.​달러 예금 (원화) + 환노출 BTC [왼쪽 빨간색 점선], 환노출 QQQ + 환노출 BTC [오른쪽 초록색 점선]​왼쪽 그래프에서 빨간색 점은 달러 예금 (원화) + BTC입니다. 달러 예금 (원화)은 외화 RP나 BIL, SGOV와 같은 단기 달러 채권 또는 채권 ETF에 투자하고 원화로 평가하는 경우입니다. 빨간색 선에 매 10% 비중마다 검은색 점이 찍혀 있습니다.​(30%, 30%)에 까만 점이 하나 있습니다. 달러 예금 80% + 환노출 BTC 20%인 경우입니다. 다른 자산과 비교하더라도 변동성 대비 수익률이 상당히 높았던 지점입니다. 같은 기간 QQQ는 대략 (15%, 20%) 지점에 있었습니다.​그 오른쪽 상단에 있는 점은 대략 (42%, 40%)입니다. 달러 예금 비중이 70%인 경우입니다. TQQQ 수준의 수익률을 20% 이상 낮은 표준 편차로 얻는 포트폴리오였습니다.​이 두 포트폴리오는 QLD 또는 TQQQ와 같은 고레버리지 ETF를 통해 큰 위험을 감수하면서 고수익을 노리는 투자자가 BTC로 대체하는 경우 고민해 볼 수 있는 포트폴리오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의: 어디까지는 과거에 그랬다는 이야기입니다.​좀 더 현실적인 경우를 살펴봅니다. 오른쪽 그래프에서 초록색 선은 환노출 QQQ + 환노출 BTC입니다. 왼쪽 달러 예금 + 환노출 BTC보다 살짝 위에 포트폴리오 선이 위치함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30% 수준의 변동성으로 5% 정도 더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었고, 40% 수익률은 5%가량 낮은 변동성으로 얻을 수 있었습니다.​각각의 경우 QQQ의 비중은 대략 85%와 80% 정도였습니다. 다르게 말하면 QQQ를 메인으로 투자하고 있는 투자자라면, 10% ~ 15% 정도의 낮은 비중으로 BTC를 코인레버리지사이트제작 편입하면 QLD 또는 TQQQ와 비슷한 수익률을 조금 더 낮은 변동성으로 얻을 수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정리하며가상 자산의 하나인 BTC(비트코인)를 미국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QQQ 또는 3배 레버리지인 TQQQ와 분산 투자하는 경우를 살펴보았습니다.​주의: 이 글의 분석은 과거 데이터에 국한하며, 어떠한 예측 또는 투자 권유를 담고 있지 않습니다.​지금까지의 BTC는 QQQ 대비 변동성 기준으로 5배 레버리지 수준에 해당되는 상품이었습니다. 수익률로는 대략 3.5배 레버리지에 가까웠습니다. 참고로 TQQQ는 QQQ 대비 변동성으로는 3배 정도에 해당되었지만, 수익률은 1.8배 정도였습니다. BTC를 QQQ의 레버리지 상품으로 간주한다면, TQQQ보다 효율적인 레버리지 효과를 만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BTC와 QQQ는 주식형 ETF끼리 살펴볼 때 나타날 수 있는 상관성보다 조금 낮은 상관성을 보였습니다. 이 때문에 예금 + BTC 포트폴리오 비해 BTC + QQQ로 추가로 분산 투자 효과로 이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에 비해 TQQQ는 BTC와 분산 투자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가 거의 없었습니다.​연재 목록: [목록] 자산 배분 분석 연재글 모음​참고: 질문이나 비교 분석 요청이 필요한 ETF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 주시기 바랍니다.​​참고 도서 및 관련 자료: 오렌지사과의 출간 책 소개와 샘플북 목록다음의 참고 도서 및 관련 자료는 소개한 글을 이해하거나 직접 분석해 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각각의 책 소개 링크에는 샘플북도 첨부되어 있습니다.왜 위험한 주식에 투자하라는 걸까? - 장기 투자와 분산 투자에 대한 통계학적 시각구글 시트로 시작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 오렌지사과의 불친절한 워크북파이썬으로 그려보는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 정량적 투자 분석을 위한 입문서[중급 34] 로그와 로그 스케일 (투자 분석에서 로그의 의미와 로그를 사용하는 이유)